
리디렉션이란? 블로그 방문자에게 초기 url이 아닌 다른 url을 제공하는 것이다. 티스토리 쪽으로 유입되는 사람들을 2 차도 메인 주소로 들어올 수 있게끔 돌리기 위해리 디렉션 코드를 사용한다. 예를 들어 https://ellaz.tistory.com라는 3차 티스토리를 주소를 편의성에 의해 2차 도메인 https://ellaz.com 구입했다 가정했을 때, 본 주소를 구입한 변경된 주소로 바꾸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리디렉션이다. 문제는 이때 변경 과정에서 리디 액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. 리디렉션의 순기능과 역기능 순기능 리디렉션을 사용하면 블로그 방문자가 검색 엔진을 통해 확인하고 들어온 주소를 블로그 주인이 설정 주소로 바꾸어준다. 3차 도메인을 2차 도메인으로 변경할 시 사용한다. 역기능 A를..
색인의 정의 책 속의 낱말이나 구절 등을 찾아보기 쉽도록 일정한 순서로 나열한 목록을 가리킨다. 영어로는 인덱스(index)라고 한다. 즉, 색인이란 것은 알아보기 쉽도록 표시해둔 목록이다. 국어사전을 찾아 때 맨 앞에 나열해 논 단어 목록을 지칭할 때도 사용된다. 인터넷에선 어떤 용도로 색인이라는 단어가 사용될까? 웹(인터넷)에서의 색인은 데이터를 기록할 때 데이터의 이름이나 크기 등의 데이토를 보여주는 속성과 이러한 데이터를 기록한 장소 등을 보기 쉽게 표시한 것이다. 즉 데이터에 대한 참조용 데이터를 색인이라고 하는 것이다. 검색엔진에서 색인이 중요한이유 우리가 책에서 낱말을 찾을 때 빠르게 찾을 수 있게 하는 것처럼 검색엔진에서도 색인은 검색을 더욱 빠르게 하게 한다. 알아보기 쉽도록 표시해둔 목..